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 의미

by 세어링치 2025. 9. 8.
반응형

 추석 차례의 의미




추석은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조상께 감사와 예를 드리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중 차례는 조상에게 제물을 올리고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전통 의식입니다. 

 

차례상은 단순히 음식을 올리는 행위가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조상을 기억하며 마음을 모으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차례상 차림에는 음식의 배치와 의미, 

 

그리고 정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차례상 차림의 기본 원칙




차례상에는 전통적으로 좌포우혜, 어동육서, 두동미서 등의 원칙이 있습니다. 

이는 음식을 어떤 위치에 올려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기준입니다.

좌포우혜: 포(말린 고기·포류)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

두동미서: 두부 같은 두류 음식은 동쪽, 미나리·나물류는 서쪽


또한 과일과 나물, 떡과 술 등은 각각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조화롭게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석 차례상에 올리는 대표 음식



1) 송편

추석의 대표 음식인 송편은 햇곡식으로 빚어 조상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음식입니다. 

반달 모양은 풍요와 가족의 화합을 상징합니다.

2) 나물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등 3색 나물을 주로 준비합니다. 

 

각각의 나물은 오행(五行)을 상징하며,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길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3) 생선

대체로 조기, 도미 같은 흰살 생선을 사용합니다. 

 

생선은 ‘자손이 번성한다’는 의미가 있어 빼놓지 않고 올립니다.

4) 육류

쇠고기 산적이나 편육 등을 올리며, 가족 건강과 풍요를 기원합니다.

5) 전류

호박전, 동태전, 두부전 등 다양한 전이 차례상에 올라갑니다. ‘

 

둥글게 잘 지내자’는 의미가 담겨 있어 빠지지 않는 음식입니다.

6) 과일

배, 사과, 감 등 제철 과일을 올립니다. 

 

대체로 색과 모양이 고르고 신선한 과일을 사용합니다.


7) 술

조상께 드리는 술은 예로부터 빠지지 않는 제물입니다. 

 

정성을 다해 빚은 술을 올리며 감사와 경의를 표현합니다.

4. 음식 올리는 순서

차례상을 차릴 때는 일반적으로 신위에서 가까운 곳부터 밥·국, 

 

그다음 전·탕·나물, 마지막으로 과일·떡 순서로 배치합니다.

신위 앞줄: 밥, 국, 술잔

그다음 줄: 전, 탕, 나물, 채소

마지막 줄: 과일, 떡, 포, 식혜

이 순서는 지역과 가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성을 다하는 마음입니다.

 

 

 차례상에 담긴 의미




추석 차례상은 단순히 형식적인 의식이 아니라, 

조상과 후손이 마음으로 이어져 있음을 상징합니다. 

 

음식을 정갈하게 차리고 예를 다해 올리는 과정 자체가 

 

조상에 대한 존경, 가족 간 화합, 풍요로운 삶에 대한 바람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어린 세대에게는 우리의 전통과 가치를 자연스럽게 전하는 교육적 의미도 있습니다.

 

 

 현대에 맞는 실천 방법




바쁜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 방식을 그대로 따르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의미가 줄어드는 것은 아닙니다. 

 

가족의 상황에 맞게 간소화하되, 

 

조상을 기리는 마음과 가족의 화합이라는 본질만 잊지 않으면 충분합니다. 

 

예를 들어 전통 음식 대신 간단한 제철 과일과 떡만 올리거나, 

 

음식을 줄이더라도 성의 있게 준비하는 방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마무리




추석 차례상 차리기는 형식보다는 정성과 의미가 핵심입니다.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 하나하나에는 조상에 대한 존경과 

 

가족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번 추석에도 가족과 함께 상을 차리며 

 

전통의 소중함을 느껴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작은 준비와 마음가짐이 모여 풍요로운 한가위를 만들어 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