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학

건강검진표 해독 가이드 – 숫자 속에 숨겨진 내 몸의 신호들

by 세어링치 2025. 7. 16.
반응형



해마다 받는 건강검진, 

결과지를 펼쳐보면 수많은 수치와 용어들이 가득해 어디부터 봐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과 경계, 이상 소견 등의 단어가 붙은 검사 항목들은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내 몸에 어떤 경고를 보내는지 궁금하지만 설명을 듣는 기회는 부족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강검진 결과 속 주요 지표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부분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나를 잘 아는 방법, 바로 내 몸이 보내는 숫자를 읽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혈압 - 침묵 속의 경고



정상 혈압은 수축기(위) 120mmHg 미만, 이완기(아래) 80mmHg 미만입니다.

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 90/60mmHg 이하라면 저혈압으로 분류됩니다.

고혈압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심장과 혈관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조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경계 수치(130대/80대)가 나왔다면 식습관 개선과 스트레스 관리가 우선입니다.

 

 

 혈당 - 숫자보다 무서운 조용한 침입자



공복 혈당 정상 수치는 7099mg/dL입니다.

100125mg/dL는 ‘공복혈당장애’, 126 이상은 ‘당뇨병 의심’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공복 혈당 수치가 애매하게 높거나, 

식후 2시간 혈당이 급격히 올라가는 경우에는 당 대사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단 음료,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것이 기본이며, 꾸준한 운동도 혈당 조절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간 기능 수치 - AST, ALT의 의미



간 기능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수치로는 AST(GOT)와 ALT(GPT)가 있습니다.

정상 수치는 보통 40 IU/L 이하입니다. 이 수치가 높다면 간세포 손상이 의심됩니다.

지방간, 과도한 음주, 바이러스성 간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음주 습관을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추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ALT가 AST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질 검사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균형이 중요



총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

LDL(나쁜 콜레스테롤): 130mg/dL 미만

HDL(좋은 콜레스테롤): 40mg/dL 이상

중성지방: 150mg/dL 미만


LDL 수치가 높고 HDL이 낮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집니다.

한편 중성지방이 높다는 것은 단순히 ‘기름진 음식’ 때문만이 아니라, 

 

과도한 당 섭취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밥, 면, 빵 위주의 식단은 줄이고, 식이섬유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사를 해보세요.

 

 

 신장기능 - 크레아티닌과 사구체여과율(eGFR)



크레아티닌: 남성 0.71.2mg/dL, 여성 0.51.0mg/dL

사구체여과율(eGFR): 60mL/min/1.73㎡ 이상

이 수치들이 낮아지면 신장 기능 저하를 의미합니다. 

특히 단백뇨가 함께 나타난다면 콩팥에 부담이 가고 있다는 뜻입니다. 

 

평소 짜게 먹는 식습관, 고단백 식단은 신장 건강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조절이 필요합니다.

 

 

 소변검사 - 소리 없이 드러나는 이상 신호



소변에서 단백뇨, 혈뇨, 당뇨가 검출된다면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나오면 신장, 방광, 요로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단백뇨는 고혈압이나 당뇨병과도 연관이 깊기 때문에 결과가 반복된다면 전문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체중.체지방률 - 숫자보다중요한 건 비율



검진표에 나오는 BMI(체질량지수)는 참고용일 뿐, 체지방률이 더 중요한 건강 지표입니다.

지나치게 마른 것도, 근육량이 부족한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복부비만은 내장지방 축적과 직결되므로 허리둘레가 넓어졌다면 

 

체중보다 복부 중심으로 관리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마무리하며



건강검진은 단순히 ‘이상이 있는가’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내 몸의 경고등을 미리 확인하고 삶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나침반입니다. 

 

숫자 하나에도 의미가 숨어있고, 

그 수치들이 보내는 미세한 신호들을 놓치지 않는 것이 곧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결과지를 받고 그냥 서랍 속에 넣어두기보다는, 

 

그 숫자를 ‘읽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건강은 지켜보는 눈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반응형